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이분 탐색
- 메모이제이션
- 구현
- spring cloud
- 게이트웨이
- 백트래킹
- 플로이드 와샬
- 트리
- 스택
- 구간 트리
- 완전 탐색
- ZuulFilter
- 서비스 디스커버리
- Gradle
- dp
- 다익스트라
- 달팽이
- docker-compose
- Spring Cloud Config
- 비트마스킹
- 유레카
- spring boot
- 스프링 시큐리티
- Java
- BFS
- 이분 매칭
- 도커
- Zuul
- 주울
- Logback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트리의 지름 (1)
Hello, Freakin world!
[백준 1967번][Java] 트리의 지름 - 재귀 호출 전/후 함수 호출
www.acmicpc.net/problem/1967 1967번: 트리의 지름 파일의 첫 번째 줄은 노드의 개수 n(1 ≤ n ≤ 10,000)이다. 둘째 줄부터 n-1개의 줄에 각 간선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 간선에 대한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정수는 간선이 연 www.acmicpc.net 이 문제를 풀면서 너무 아쉬웠다. 아마 10월 코드 챌린지 3번과 비슷한 문제가 아닌가 싶었다. 트리 부분을 너무 소홀히했다. 크 3솔이 눈에 아른거린다. 풀이 방법은 트리를 순회하면서 현재 노드를 기점으로 가장 긴 간선을 계산하고 자손의 수에 따라 가장 큰 2개나 한개를 현재 노드가 중심이 되는 지름이라고 한다. 아 이게 말로 설명하기는 조금 버겁다. 재귀를 이해한다면 코드를 보는게 낫다...
알고리즘/PS
2020. 10. 9. 1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