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adle
- 트리
- 플로이드 와샬
- Zuul
- 스프링 시큐리티
- spring boot
- 구간 트리
- 메모이제이션
- dp
- Spring Cloud Config
- 서비스 디스커버리
- docker-compose
- Logback
- 유레카
- 비트마스킹
- 다익스트라
- BFS
- 도커
- spring cloud
- 백트래킹
- 이분 매칭
- 구현
- Java
- 게이트웨이
- 달팽이
- 이분 탐색
- 스택
- ZuulFilter
- 완전 탐색
- 주울
- Today
- Total
목록달팽이 (4)
Hello, Freakin world!
www.acmicpc.net/problem/17827 17827번: 달팽이 리스트 첫째 줄에 노드의 개수 N(2 ≤ N ≤ 200,000), 질문의 횟수 M(1 ≤ M ≤ 200,000), N번 노드가 가리키는 노드의 번호 V(2 ≤ V ≤ N)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둘째 줄에 N개의 정수 C1, C2, …, CN이 공백 www.acmicpc.net 전체 배열에서 어느 부분만 순환하는 부분 구조를 지니는 부분에서 K번째 요소를 찾으려고 합니다. 순환하는 크기만큼만 나머지 연산을 해주고 순환하지 않는 부분만큼 자리 이동해주면 해당 요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건 코드 주석을 확인하세용 팁) 개인적으로 배열에 나머지 연산을 할 때, 처음 인덱스를 1로 하는것보다 0으로 하는게 더 편했습니다. ..

www.acmicpc.net/problem/1959 1959번: 달팽이3 첫째 줄에 표의 모든 칸이 채워질 때까지 선이 꺾어지는 횟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 끝나는 점의 좌표를 출력한다. 왼쪽 위 칸의 좌표를 (1, 1), 오른쪽 아래 칸의 좌표를 (M, N)이라고 하자. www.acmicpc.net 입력의 크기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직접 그리면서 화살표가 꺾이는 부분을 일일이 체크할 수 없다(꺾이는 부분을 curve point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럴 경우 규칙을 찾아내 복잡도를 줄이든지 답을 내는 식을 찾든지 해야 된다. 자, 이제 다음과 같은 M,N 크기의 사각형이 있다고 하자. 사각형의 가장 자리를 다 돌고 이제 빨간색 사각형으로 순회를 시작하려고 한다. 위 그림처럼 내부에 빨간색 사각형처럼 내..
www.acmicpc.net/problem/1952 1952번: 달팽이2 M줄 N칸으로 되어 있는 표 위에, 달팽이 모양으로 선을 그리려고 한다. 위의 그림은 M=5, N=3의 예이다. 이제 표의 왼쪽 위 칸(ㅇ)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선을 그려 나간다. 표의 바깥 또는 이미 www.acmicpc.net 달팽이 시리즈 문제입니다. 이전 달팽이 문제에서는 순회할 때 세야하는 칸의 개수를 유지했는데, 이번엔 이차원 boolean 배열을 이용해 방문한 곳을 체크하고 방문하지 않은 곳까지만 방문하는 방식으로 구현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방법이 더 간단한 듯 하네요.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
www.acmicpc.net/problem/1913 1913번: 달팽이 N개의 줄에 걸쳐 표를 출력한다. 각 줄에 N개의 자연수를 한 칸씩 띄어서 출력하면 되며, 자릿수를 맞출 필요가 없다. N+1번째 줄에는 입력받은 자연수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정수를 한 칸 띄어서 www.acmicpc.net 문제 풀이 2차원 배열을 달팽이 방향으로 순회하면서 숫자를 기입하는 문제입니다. 시계 방향으로 순회하기 때문에 방향은 상,우,하,좌 이렇게 1차원 배열에 넣고 순환시키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의 경우 한 쪽 방향으로 숫자 개수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이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찬찬히 살펴보면 어느 방향이든 (한쪽 행, 한쪽 열)이 사이클이 되며 이 때마다 필요한 숫자 개수가 하나씩 늘어납니다. 주의할 점..